기획 설명 및 피드백
웹 뷰는 고난이도 기술임
브릿지 기술이 고난이도인 것으로 알고 있음
이벤트를 어떻게 넘겨야 할 지 등 고려할 부분이 많음
거래 기능
앱 내에서의 결제 및 송금 서비스
통신 판매업이어서 사업자 등록이 되어야 함(PG사한테 수수료를 주면서)
결제 기능은 사무국과의 논의가 필요
국가사업이다보니 4대보험등의 문제를 해결해야 할 것
네이버 머니, 카카오 머니 형태는 제한 사항이 더욱 많음
선불전자지급수단을 취급하는 것
금감원을 통한 전자금융업자(라이센스) 취득 필수
현실적으로 불가
p2p거래 방식(Like 당근마켓)
에스크로 방식
구매자의 구매 확인 의사(구매결정)을 통보 받은 후 판매자(쇼핑몰)에게 결제 대금을 지급하는 안전한 결제 서비스
쉽지는 않다
상품권 취급할 수 있는 자격 사항이 있을 것
비즈니스 모델
에스크로이외의 수수료 수취 어렵
PG사와의 결제 서비스 제공 시 수수료가 4%는 나가서 사용자 거부도 있을 수 있을 것
CustomerService가 많이 생길 것
상품권 유효성 검사
큰 진입 장벽
해법 필요
질문
개발 서버 vs 테스트 서버
백엔드는 localhost , 프론트는 네이버 클라우드해서 즉각 반영이 안되서 어려웠다.
앞으로 서버사이드렌더링으로 하면 좋지 않을 까라고 생각
SW 구독 추천
API Test 도구
Radpid API
insomnia kong
Postman
하나를 선택을 해서 가져가면 좋을 듯
오류를 수집해주는 도구
Sentry
Firebase crashlytics(모바일 앱 쪽 오류 수집 도구)
Slack Pro를 통해 App Integration을 잘 쓰는 것도 큰 역량일 것
Intellij, Office365 빼도 괜찮을 듯
디자인
민재원 expert님
디자인 외주를 싸게 줬다가 돈을 더 써서 디자인 외주를 한 번 더 맡겼던 것으로 기억
인프라
도커 이미지 빌드, 도커 컴포즈 사용 수준 정도가 적절할 것
운영 환경에서는 AWS RDS, Elasitc Cache을 사용할 수도 있을 듯
예상 인프라 구성도
EC2
S3, CloudFront
VPC
Route53
Docker
RDS(옵션)
Elastic Cache (옵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