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ftHub : 제 14기 프로젝트 기획심의 종합의견
Created by 이진우 on 6월 09, 2023
목적 및 필요성 | 유사 서비스가 많이 존재하나 자동등록 기능의 완성도에 따라 사용성은 높아질 수 있어 보임 기한이 있는 기프트콘 관리를 용이하게 해주는 것을 목적으로 함 목적 및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나, 시장이 축소될 우려가 있으므로 카카오톡과 같은 경쟁사의 장점을 비교 검토하여 기능이 추가되었으면 함 서비스 가능한 모바일 상품권 종류를 조사하여 프로젝트 기간 동안 우선순위를 정하여 서비스 개발이 필요함 카카오톡을 통해 받은 상품권은 현재 프로젝트의 대상이 아니나, 다운로드 받은 상품권 이미지를 감지하여 관리 대상에 포함하는 방안도 검토할 필요가 있음
|
---|
프로젝트 개요 | Vision AI에 대한 구체적 내용을 기획서에 반영하기 바람 모바일 상품권 손쉬운 관리 및 유효기간 알림 -> 손쉬운 관리 방안을 마련하는게 중요한 기능이 될 것임 모바일 상품권 교환/판매를 위한 마켓플레이스 제공 -> 당근마켓과는 차별하된 기능 구현 필요 (보안을 어떻게 제공할 것인가?) 추가적으로 잔액 사용권, 전액 사용권에 대한 부분을 고려하기 바람 향후 수요가 점차 감소할 여지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카카오톡 등으로 전환) 수익성 확보가 우려스럽기에 그에 대한 방안도 수립되어야 할 것으로 보임 모바일 상품권의 교환/판매 위한 마켓플레이스 개발 방법과 서비스 활성화 전략이 요구됨 모바일 상품권 발급 사업자와 연계 서비스 방안도 고려할 수 있음 개인정보와 위치기반정보 보호에 관한 개발 방안 필요함 모바일 상품권 거래에 필요한 결제 관련 기술적 이슈, 법적 절차 이슈 등에 대한 추가 검토가 필요함
|
---|
프로젝트 수행방안
| 모바일 OS별로 구축을 준비한 이유가 존재할 것으로 보이며, 모바일 환경에 대한 높은 이해도를 기대해볼 수 있을 것 같음 상품권 거래를 구매자와 판매자 간 중개 방식보다 , REPL에서 상품권을 구매하여 판매한다면 부가 수익도 높일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사기 피해 등 예상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도 있을 것으로 판단됨 사기 등 법적 문제가 발생할 경우 사용할 수 있는 신고하기 기능이 추가되었으면 함 1차 MVP는 자체 내부 테스트로 표현하는 것을 고려해야 함 상품권의 공유와 양도 등에 수반되는 제반 문제점들을 조사하고 분석해서 해결 방안 제시 필요함 다양한 모바일 상품권을 판단하기 위한 AI 기술의 개발 방안 제시 필요함 모바일 상품권의 사용 여부, 사용 후 잔액 등 상품권 공유 시 상품권 사용 관리 문제에 대해 좀 더 심도 있는 고려가 필요함
|
---|
결과물 및 기대효과 | 직접 B2B 모바일 상품권을 발행하는 부분 보다 니콘내콘 서비스 처럼 사용하지 않거나 유효기간이 임박한 쿠폰을 직접 매입하여 재판매하는 기능을 추가하면 수익모델이 될 수 있어 보임 효용 가치가 높아보이기에 가장 많이 사용하고 중요한 기능 위주로 먼저 개발하여 가능성을 제시하는게 필요함 기한을 넘겨 버리는 상품권을 줄인다면 사용자에게 경제적 도움이 될것이라고 기대함 사용하지 않는 상품권을 판매 또는 제작하여 경제적 이득을 제공한다라는 비즈니스 측면의 기대효과는 모바일 상품권도 유가증권에 해당하므로 법적인 문제점에 대해 잘 확인해야 할 것으로 판단됨 결과물 서비스의 사업모델과 사업화 방안 제시와 거래서비스 가능한 사업화 전략 제시가 필요함 grapgift 시스템 구성 비용 및 운영 비용, 서비스 유지관리 비용 등을 고려한 수익 모델을 좀 더 구체화 할 필요가 있음
|
---|